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업종별 상위 3대 기업들의 매출이 일본 기업의 절반 수준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는 한국과 일본의 15개 업종별 상위 3개 기업의 지난해 매출액을 조사한 결과, 한국 기업의 매출은 8587억 달러로 일본 기업 1조7529억 달러의 49% 수준으로 집계됐다고 14일 밝혔다.
국내 기업들의 매출은 대체로 일본 보다 적었으나 반도체와 휴대전화 2개 업종에서만 일본 기업을 크게 뛰어넘었다. 반도체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일본 두 기업 보다 7.7배나 높았고, 휴대전화 부문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일본의 상위 두 곳 보다 14.4배에 달했다.
15개 업종 중 일본 업체 대비 매출 비중이 50%에 못 미치는 업종은 은행(49%), 유통(47%), 식음료(47%), 보험(39%), 자동차부품(38%), 통신(20%), 자동차(15%), 제약(9%) 등 8개 업종이었다.
특히 제약 업종은 일본 기업 매출의 9%에 불과했다. 제약 업종의 경우 일본은 다케다, 아스텔라스, 오츠카 등 연 매출 100억달러 이상의 글로벌 제약사를 다수 보유했다. 반면 한국은 유한양행, 녹십자, 광동제약 등 상위 3개사 매출을 합쳐도 36억달러에 불과했다.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업종도 국내 기업이 일본 기업에 비해 매출 감소세가 뚜렷했다. 자동차는 2014년 20% 수준에서 지난해 15%로, 자동차 부품은 51%에서 38%로 각각 떨어졌다.
다만 식음료, 보험, 통신 등 상당수 업종은 자국민을 대상으로 한 내수 업종이라는 점에서 한일 양국의 인구 차이가 반영됐다는 지적도 있다. 일본의 인구는 약 1억2680만명이고 한국은 절반 수준인 5180만명이다.
UPI뉴스 / 손지혜 기자 sjh@upinews.kr
[ⓒ UPI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